728x90
설정 파일을 통해 프로그램의 동작을 유연하게 제어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기법입니다. 파이썬의 configparser
모듈을 사용하면 INI 형식의 설정 파일을 쉽게 읽고 쓸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 설정을 외부 파일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 INI 파일 형식이란?
INI 파일은 [섹션]
, 키 = 값
형식으로 구성된 단순한 설정 파일입니다. 주로 설정값, 경로, 옵션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database]
host = localhost
port = 3306
username = admin
password = secret
● 설정 파일 읽기
configparser.ConfigParser
객체를 생성하고, read()
메서드로 파일을 불러옵니다.
import configparser
config = configparser.ConfigParser()
config.read("settings.ini")
host = config["database"]["host"]
print(host) # localhost
딕셔너리처럼 접근하거나 get()
메서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rt = config.getint("database", "port")
● 설정 파일 생성 및 저장
config = configparser.ConfigParser()
config["database"] = {
"host": "127.0.0.1",
"port": "3306",
"username": "admin",
"password": "admin123"
}
with open("settings.ini", "w") as f:
config.write(f)
설정값은 모두 문자열로 저장되며, 숫자형이 필요한 경우 getint()
, getboolean()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 마무리
configparser
는 프로그램 설정을 외부화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간단한 포맷과 유연한 사용법 덕분에, 로컬 환경 설정, 비밀번호, API 키 등을 관리하는 데 자주 활용됩니다.
728x90
'프로그래밍언어 > 파이썬[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중급] Chapter25. threading과 멀티스레드 이해 (0) | 2025.05.23 |
---|---|
[파이썬][중급] Chapter24. shutil과 파일 시스템 자동화 (0) | 2025.05.23 |
[파이썬][중급] Chapter21. argparse로 커맨드라인 옵션 만들기 (0) | 2025.05.23 |
[파이썬][중급] Chapter20. 엑셀 파일 처리(openpyxl, pandas) (0) | 2025.05.23 |
[파이썬][중급] Chapter19. XML과 YAML 다루기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