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언어171

[C언어][초급] Chapter14. 형 변환 (암시적, 명시적) – 자료형을 바꾸는 방법 프로그래밍에서는 서로 다른 자료형끼리 계산하거나 저장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정수와 실수를 더하거나, 큰 자료형에 작은 값을 넣는 상황이죠.이때 C언어는 **형 변환(type casting)**을 통해 자료형을 자동으로 맞추거나, 직접 바꾸도록 요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C언어의 형 변환의 종류와 차이점, 그리고 실제 사용 예제를 통해 개념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형 변환(Type Conversion)이란?형 변환은 하나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정수형 int를 실수형 float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C언어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형 변환이 일어납니다.암시적 형 변환 (Implicit Type Conversion)명시적 형 변환 (.. 2025. 4. 16.
[C언어][초급] Chapter13. 자료형 크기와 sizeof 연산자 – 메모리 크기를 알아보자 C언어에서는 모든 변수나 상수가 메모리에 저장되며, 자료형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 크기(바이트)**가 달라집니다.예를 들어 정수형 int는 4바이트, 문자형 char는 1바이트 정도를 차지하죠.이때 변수나 자료형이 정확히 몇 바이트를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도구가 바로 sizeof 연산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C언어의 기본 자료형이 차지하는 크기와 sizeof 연산자의 사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료형마다 크기가 다른 이유자료형마다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메모리에서 차지하는 크기도 다릅니다.예를 들어 char는 1바이트(8비트)로 -128 ~ 127 범위의 정수만 저장할 수 있지만, int는 4바이트로 훨씬 더 넓은 정수 범위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자료형의 크기를 알.. 2025. 4. 16.
[C언어][초급] Chapter12. 기본 자료형 – int, float, char의 의미와 역할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이 값이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가?"를 알아야 합니다.예를 들어 나이는 정수, 키는 실수, 성별은 문자처럼 각각의 데이터에 맞는 자료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C언어에서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기본 자료형(primitive data type)**을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C언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int, float, char 자료형과 그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자료형이란?**자료형(data type)**이란, 변수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것입니다.자료형을 지정하면 메모리의 크기,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 연산 방식 등이 정해집니다.● 대표적인 기본 자료형 자료형설명 예시 값메모리 크기(기.. 2025. 4. 16.
[C언어][초급] Chapter11. 상수와 #define, const 차이 – 바뀌지 않는 값을 다루는 방법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절대로 바뀌지 않아야 하는 값들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원주율 3.14159, 하루의 시간 24시간, 고정된 요금이나 비율처럼 프로그램 전반에서 여러 번 사용되지만 절대 변경되면 안 되는 값들이죠.이럴 때는 ‘변수’가 아니라 ‘상수(constant)’를 사용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C언어에서 상수를 선언하는 두 가지 방법인 **#define과 const**에 대해 비교하며 설명해드릴게요.● 상수란?상수는 한 번 정해지면 절대로 변경할 수 없는 값입니다.변수처럼 값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수치로 프로그램 내에서 의미 있는 이름을 붙여 사용합니다.#define PI 3.14const int HOUR = 24;● #define이란?#define은 전처리기 지시문으로, 컴파일 전에.. 2025. 4. 16.
[C언어][초급] Chapter10. 변수 선언과 초기화 – 데이터를 저장하는 첫걸음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는 어떤 값도 기억하거나 처리할 수 없습니다.변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억 공간의 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C언어에서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알아보고, 자주 쓰이는 자료형과 함께 변수의 규칙과 특징도 정리해보겠습니다.● 변수란 무엇인가요?변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름 붙은 공간입니다.예를 들어 정수 10을 저장하고 싶다면, 단순히 10이라고 적는 것보다, 그것을 score라는 이름으로 기억하면 나중에 더 편하게 활용할 수 있겠죠. ● 변수 선언 방법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선언해야 합니다.C언어에서는 자료형을 먼저 적고, 그 다음 변수명을 씁니다.int age;float height;char .. 2025. 4. 16.
[C언어][초급] Chapter09. 서식 지정자 사용법 – 다양한 값 출력의 핵심 printf 함수는 C언어에서 값을 출력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입니다.하지만 printf("%d", something); 이런 식의 기본적인 사용법만 익히고 넘어가면, 다양한 상황에서 원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출력하지 못해 곤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수를 소수점 아래 몇 자리까지 출력하고 싶다거나, 정수와 문자를 함께 출력하려고 할 때, 문자열 사이에 %기호를 넣고 싶을 때 등 출력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죠. 바로 그때 필요한 것이 **서식 지정자(format specifier)**입니다.이번 글에서는 C언어의 주요 서식 지정자들과 활용법을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식 지정자란?서식 지정자는 printf, scanf 등의 함수에서 데이터의 자료형과 출력 형식을 지정해주는 .. 2025. 4. 15.
728x90